Lee’s practice focuses on interactive sound installations, often adapted as performances. A graduate of MA in Fine Arts at the Royal College of Art in London, Lee has been active as an artist and an independent curator since relocating to Seoul. He was selected as a curator for 2021 Korea Research Fellow 10 x 10, and have been part of a curatorial team at an artist-run-space; Euljiro OF since 2020. As an artist, Lee has participated in various group shows including <2022, Instead of An Afterwards, Korean Cultural Center, Hong Kong>, <2021, Joy of Singing, Alternative Space Loop, Seoul>, <2021, The Long Now, d/p, Seoul>, <2021, Collective Collection, Eulji Art Center, Seoul>, <2021, Exophony, Euljiro OF, Seoul>, <2021, Preview Art Fair, Samsung Blue Square, Seoul>, <2020, The Whistler, Galerie ERD, Seoul>, <2020, No Space, Just A Place : Eterotopia, Daelim Museum, Seoul>, <2018, APT Live, APT Studios, London>, <2018, Watch This Space, Hackney Centre For Better Health, London>, <2018, hmn 015, London>, and more. As a live performer, Lee is currently active as a DJ in Seoul’s underground scene and previously toured with a contemporary dance group. Primarily interested in interactive and participatory projects, Lee’s works deprive or evoke audio, visual, and linguistic touch to stimulate multi-sensory experience with the audience.

이현종 李炫宗
인터액티브 사운드 설치 기반인 이현종의 작업은 때로는 퍼포먼스로 각색되어 선보여 지기도 한다. 라이브 퍼포머로 현재 서울의 이태원과 홍대 일대의 일렉트로닉 음악 베뉴들에서 DJ로 활동 중이며, 지난해 까지는 현대무용단과 공연 투어를 돌기도 하였다. 런던의 왕립예술대학에서 순수미술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울을 기반으로 작가, 독립기획자, DJ, 등 다채로운 활동을 펼치고 있다. 작가로 참여한 주요 단체전으로는 <2022, Instead of An Afterwards, 주홍콩한국문화원, 홍콩>, <2021, 노래하는 사람, 대안공간 루프, 서울>, <2021, 긴 지금, d/p, 서울>, <2021, 콜렉티브 컬렉션, 을지예술센터, 서울>, <2021, 엑소포니, 을지로  OF, 서울>, <2020, The Whistler, 갤러리 ERD, 서울>, <2020, No Space, Just A Place : Eterotopia, 대림 미술관, 서울>, <2018, APT Live, APT Studios, 런던>, <2018, hmn 015, 런던>, 등이 있으며, 독립기획자로 지난 2021년 Korea Research Fellow 10x10 에 초청 되었다. 2020년 부터는 아티스트-런-스페이스 '을지로 OF’의 공동 기획 및 운영자로 활동 중이다. 최근까지 현대무용단의 음악 연출가로 중장기 프로젝트에 참여하였으며, DJ 활동 또한 꾸준히 하고 있다. 주로 상호적인 관객 참여형 작업들을 선보이고, 언어, 소통, 그리고 하류문화의 근원을 기반으로 사운드, 영상, 퍼포먼스 작업으로 풀어간다.

invited by Sascha Pohle
​​​​​​​


Back to Top